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청 글쓰기9

"나의 세계와 타자의 세계를 일치시키는 방법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내 생각 일단 자신의 세계는 자신이 잘 알테니까 제쳐두고 타자의 세계를 일치시키기 위해선 우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게 우선적일 거라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려면 이해심이 필요하다. 이해심 없이는 다른 사람의 입장 생각 안하거나 못하고 자신의 입장만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나는 인성이 착한 사람들이 이해심이 많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인성이 착한 사람들이 타자의 세계와 자신의 세계를 일치시키기엔 좀 더 쉬울 것이다. 근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자신과 타자의 세계를 일치시킬 수 있는지는 애매하다. 인생을 살면서 수많은 상황들이 있고 그때그때마다 자신과 타자의 세계를 완벽히 일치시키는 건 힘들 거라 생각한다. 2025. 1. 3.
블로그 방문자들에 대한 본능분석과 반박제거 본능분석 ①내게 필요한 정보들이 필요해②재밌는 글이 없을까?③혹시 유용한 정보가 없을까?④글이 너무 많아 읽기가 힘들어. 간략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이 없을까?  반박제거①여기엔 별로 쓸떼없는 정보들만 넘쳐나는 거 아니야?  -> 방문객들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를 찾아 그에 맞는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포스팅한다.②이 블로그에 딱딱하고 재미없는 글만 많을 것 같아-> 인터넷에 재미있는 유머글이나 스토리글 같은 걸 참고해 그런 것들도 포스팅한다.③별로 유용하지 않은 정보만 많은 것 같아-> ①과 마찬가지로 네이버나 구글 등에서 방문객들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를 찾아 그에 맞는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 포스팅한다.④글이 너무 길어 -> 인간은 글보단 그림을 더 쉬워하므로 그림을 많이 배치해서 글을 잘 못 .. 2025. 1. 3.
자청은 정말 글쓰기로 성공한 게 맞을까? 비판 : 솔직히 모든 사람이 글쓰기한다고 자청처럼 몇 억 버는 사업가가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글쓰기한 모든 사람이 성공했다면 책을 쓰는 작가들은 모두 자청처럼 성공했을 것이다. 그런데 현실을 보면 작가들 중 잘 되는 사람도 있지만 안 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므로 자청은 다른 재능이 더 있었기 때문에 그리 된 거라고 생각한다. 긍정 : 맞다고 생각한다. 내가 제일 존경하는 이순신 장군님도 글쓰기를 했었다. 삼국지의 제갈공명이나 이순신 장군이 매 전투에서 이길 수 있었던 원동력이 전쟁의 판세를 읽는 힘하고 뛰어난 지략(두뇌)이다. 나는 똑똑한 사람들이 글쓰기를 할 수 있는 게 아니라 글쓰기를 많이 한 사람이 똑똑하게 되는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자청도 꾸준한 글쓰기로 뇌를 단련시켜 성공.. 2025. 1. 2.
반응형